처음으로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  2025.4.6 (일)
 http://www.bulgyonews.co.kr/news/24873
발행일시: 2013/05/19 23:48:10  이재우
100년만에 돌아온 남한산성 장경사 범종
일제 사찰파괴로 봉은사 이동… 17일 일반 공개

일제의 사찰파괴를 피해 서울 봉은사로 옮겨졌던 남한산성 장경사(長慶寺) 범종인 동종(銅鐘)100여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왔다.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에 위치한 장경사는 17일 석가탄신일을 맞아 동종을 일반인에게 공개됐다.

 

 

장경사는 조선시대 남한산성의 축성과 관리를 담당하던 10개 승군(僧軍) 사찰 중 하나로 인조 2(1624)에 창건됐다.

 

200여년 간 남한산성을 보호하던 사찰들은 1907년 일제가 군대해산령을 내리고 산성 내 사찰을 파괴, 무기를 거둬가는 과정에서 대부분 소실됐다.

 

장경사 동종은 이 시기에 일제의 손길을 피해 지금의 서울 강남 봉은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은 설명했다.

 

동종은 높이 82.5cm, 하단 지름 53cm, 두께 6.2cm 규모로 종 본체에 용신(龍身)과 용꼬리가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전통적인 조선후기 양식의 범종이다.

 

종 몸통에는 한국전쟁 당시 남은 것으로 추측되는 탄환 관통 흔적도 있다. 종에는 '강희 21(청나라 연호), 조선 숙종 83월에 경기 광주부 읍내 남한산성에 있는 장경사 종으로 중량 300'이란 글귀와 100여명의 시주명단이 적혀 있어 제작시기와 당시 종의 가치를 가늠할 수 있다.

 

장경사 주지 경우스님은 시주명단 대부분이 정23품 조선 고위직인 것으로 보아 당시 정경사가 민간뿐만 아니라 조선 조정에서 관심을 많이 두고 있던 사찰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30여년의 역사를 품은 동종은 봉은사를 떠난 후 장경사 대웅전에 보관된다.

 

 

이재우 기자

 


관련사진  l 작은 사진을 클릭하시면 큰 사진을 보실수 있습니다.
장경사 동종
장경사 동종
기사 출력  기사 메일전송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공유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독자의견 (총 0건)
독자의견쓰기
* 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 등 목적에 맞지않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등록된 글은 수정할 수 없으며 삭제만 가능합니다.
제    목         
이    름         
내    용    
    
비밀번호         
스팸방지            스팸글방지를 위해 빨간색 글자만 입력하세요!
    

‘간월암의 일출’

태고종 양주 청련사 불기2568년 봉축 법요식 봉행
 
  l   신문사 소개   l   연혁   l   조직구성   l   본사 및 지사 연락처   l   기사제보   l   개인정보보호정책   l  
copyrightⓒ2001 주간불교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30길 21, 1415호(낙원동, 종로오피스텔)
편집국·업무국 02)734-0777 Fax : 02)734-0779
주간불교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