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  2025.4.6 (일)
 http://www.bulgyonews.co.kr/news/38660
발행일시: 2025/03/24 04:28:14  김종열
한국 테라와다불교 상징 도성 대종사 원적
1972년 태국 테라와다 승단에서 계 수지한 남방불교 선구자

한국 남방불교의 상징인 도성 대종사

3월 23일 오전 5시 20분 세수 106세, 법납 75세로 입적
발인 25일, 태종사서 49재 봉행 예정

 부산 영도 태종사 조실 영공당 도성 대종사가 3월 23일 오전 5시 20분 주석처인 태종사에서 원적에 들었다. 세수 106세, 법납 75세다. 빈소는 부산 영도구민 장례식장 4층 VIP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3월 25일 오전 9시에 엄수된다.

 도성 스님은 1919년 음력 9월 12일 평안남도 양덕군 쌍용면에서 출생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석암 스님이 주석하던 부산 선암사에서 출가해 해인사 지월 스님을 은사로 계를 수지했다. 이후 합천 해인사와 해남 대흥사 주지를 역임했다.

 특히 스님은 1972년 근본불교 전통 계맥 계승을 위해 태국 테라와다 불교 승단을 정식 초청해 영축총림 통도사에서 열린 수계법회에서 테라와다 비구계를 받은 53명의 스님 중 한 명이다. 이후 남방 가사를 수하며 한국 테라와다 불교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매김했다.

 도성 스님은 1983년부터 미얀마, 스리랑카, 태국 등을 오가며 위빠사나 수행을 지속했으며, 부산 영도구에 태종사를 창건하고 조실로 주석하며 국내외 수행자들의 위빠사나 정진을 지도했다. 2009년 10월 31일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창립법회에서는 상가라자(승왕)로 추대되기도 했다.

 49재는 초재와 3재, 5재, 막재로 네 차례 봉행된다. 초재는 3월 29일, 3재는 4월 12일, 5재는 4월 26일이며 막재는 5월 10일 각 오전 11시 태종사에서 엄수될 예정이다.

 한편 문도회 상좌는 삼소, 원학, 원혜, 법연, 종범, 동윤, 정원, 진용 스님이다. 손상좌는 성윤, 유경, 유진, 유정, 유초, 유천 스님이다.

김종열 기자



기사 출력  기사 메일전송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공유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독자의견 (총 0건)
독자의견쓰기
* 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 등 목적에 맞지않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등록된 글은 수정할 수 없으며 삭제만 가능합니다.
제    목         
이    름         
내    용    
    
비밀번호         
스팸방지            스팸글방지를 위해 빨간색 글자만 입력하세요!
    

‘간월암의 일출’

태고종 양주 청련사 불기2568년 봉축 법요식 봉행
 
  l   신문사 소개   l   연혁   l   조직구성   l   본사 및 지사 연락처   l   기사제보   l   개인정보보호정책   l  
copyrightⓒ2001 주간불교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30길 21, 1415호(낙원동, 종로오피스텔)
편집국·업무국 02)734-0777 Fax : 02)734-0779
주간불교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